Math41
launch
Math41 App
login
Log In
toc
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
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
이차방정식
의 두 근을
,
라 하면
두 수를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
두 수
,
를 근으로 하고
의 계수가
인 이차방정식은
이차식의 인수분해
이차방정식
의 두 근을
,
라 하면
계수가 실수인 이차식은 복소수의 범위에서 항상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할 수 있다.
이차방정식의 켤레근
이차방정식
에서
,
,
가 유리수일 때,
이 근이면
도 근이다.
(단,
,
는 유리수,
은 무리수)
,
,
가 실수일 때,
가 근이면
도 근이다.
(단,
,
는 실수,
)
과
,
와
는 각각 켤레근이라 한다.
예제 1.
이차방정식
의 두 근을
라 할 때,
의 값은?
해설
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하여
,
주어진 식을 변형하여 위에서 구한 값을 대입한다.
[다른풀이]
두 근이
이므로
라 할 수 있다.
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값은 방정식에
을 대입한 값과 같다.
예제 2.
이차방정식
의 한 근이
일 때, 실수
에 대하여
의 값을 구하시오.
해설
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
이므로 다른 근은
이다.
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하여
,
따라서